소금별 교실/교실이야기144 2019-03-20 대의원 선거 2019년 3월 20일 수요일 다른 학교에는 있지만 섬강초에는 없는 것이 있습니다. 담임교사에게는 행정업무가 없습니다. 아이들과 온전히 교실에서 함께하기 위해 전담선생님들이 업무를 모두 맡았습니다. 섬강초에는 기존의 학급 반장의 역할은 없습니다. 지시와 감시의 역할이 아니라 친구들의 의견을 모으고 전체 학생들의 의견을 함께 나눌 학생자치회에 대표로 참여할 대의원이 있습니다. 작은 변화지만 민주적인 학교문화를 만들어가는 첫걸음입니다. 아이들이 생각한 우리들의 대표의 자격. 머리와 가슴. "상대방의 말을 존중해 주는 사람" "자기만 생각하지 않고 모두를 생각하는 사람" "따뜻한 마음을 가진 사람" "친구을 존중하는 마음" "친절한 마음" 아이들이 스스로 결정하고 만들어갈 섬강초 학생자치회를 응원해 주세요. .. 2023. 1. 29. 2019-03-15 배움의 공간 상상하기 2019년 3월 15일 금요일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 공간혁신 촬영이 있었습니다. 교실은 아이들 배움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삶의 공간이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학교에 배우러 오기도 하지만 놀러 오기도 합니다. 다른 말로 하면 그냥 "살러"오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런 아이들의 공간을 아이들이 스스로 고민하고 바꿔가는 것은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첫 걸음입니다. 우리반에서 시작된 이 수업이 곧 전국의 많은 학교에서 시도될 것입니다. 오늘 수업에서 담아낸 우리반 친구들의 이야기들이 그런 마중물이 되리라 기대해 봅니다. 2023. 1. 29. 2019-03-13 우리가 바라는 학교 2019년 3월 13일 수요일 아이들이 바라는 학교, 아이들이 원하는 학교의 모습을 무엇일까요? 아이들이 학교에서 가장 하고 싶은 일은 .. 아이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 아이들의 소망과 꿈을 담아내는 학교를 꿈꿔봅니다. 오랫만에 미세먼지가 없는 날이라 날은 조금 쌀쌀했지만 체육 선생님과 운동장에서 마음껏 뛰었던 하루였습니다. 2023. 1. 29. 2019-03-06 풍선놀이로 만나기 4교시에 아이들과 협력놀이를 함께 하였습니다. 처음 만난 친구들과 조금은 어색한 모습이었지만 놀이는 아이들을 금방 친하게 만들어줍니다. 함께 협력하고 배려해야 즐거운 협력놀이로 4학년 1반 친구들의 새로운 출발에 시동을 겁니다. 2023. 1. 29. 텃밭 이야기를 준비하며 서로가 꺼내 놓은 작물들을 분류 기준에 따라 작물들을 나눠보고 새롭게 궁금한 점도 다시 찾아보고 분류기준을 정하기 어려운 작물은 다시 책을 열어보며 더 알아보는 시간을 함께 합니다. 2023. 1. 7. 우리가 바꾸는 학교 공간 2022. 5. 8. 공간 디자인 수업 2016. 9. 7. 우리가 만드는 학교 공간. 우리가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 함께 만드는 공간. 2022. 5. 8. 사슴벌레 키우기 사슴벌레 2022. 5. 8. 바닥놀이터 - 이야기와 연결하기 2016. 6. 20 . 2022. 5. 8. 사방치기 놀이터를 만들다 우리가 만든 놀이터 2022. 5. 8. 이전 1 ··· 4 5 6 7 8 9 10 ··· 15 다음